대동여지도 발문(跋文)
東史曰 朝鮮音潮仙 因仙水爲名 又云鮮明也 地在東表日先明 故曰朝鮮
《동사》에 이르기를 조선(潮仙)이라 소리나는 ‘朝鮮’은 선수(仙水)로 말미암아 이름을 삼음이요 또한 이르기를 선명(鮮明)한 것이라, 땅이 동쪽에 있어 해가 뜰 때 먼저 밝아오므로 조선이라 한다 하였다.
山經云 崑崙一枝 行大漠之南東 爲醫巫閭山 自此大斷 爲遼東之野
《산해경》에 이르기를 곤륜의 한 갈래가 대막(넓은 사막)의 남동으로 가 의무려산이 되고 이로부터 크게 끊어져 요동 벌판이 되었다.
?野起爲白頭山 爲朝鮮山脈之祖 山有三層 高二百里 橫亘千里 其?有潭 名謂達門 周八百里 南流爲鴨綠 東分爲豆滿
마른 벌이 일어나 백두산이 되니 조선산맥의 시조다. 산은 셋으로 층졌는데 높이는 200리, 가로는 1000리에 걸쳐 있으며, 그 산꼭대기에는 못이 있어 이름은 달문이라 하고 둘레는 800리이며, 남으로 흘러 압록이 되고 동으로 나뉘어 두만이 된다.
山自分水嶺 南北?? 爲燕脂峰小白山雪寒等嶺 鐵嶺一枝 東南走起 爲道峰三角 而漢水經其中
산은 분수령으로부터 남북으로 구불구불 이어져 연지봉 소백산 설한 등의 재가 되고, 철령의 한 갈래가 동과 남으로 달려 일어나 도봉과 삼각이 되니 한수가 그 가운데를 지난다.
蓋我東邦域 三面際海 一隅連陸 周一萬九百二十里 凡三海沿一百二十八邑 總八千四十三里
우리 동방 강역은 3면이 바다에 접하고 한 모퉁이가 육지에 이어져 있으며, 둘레는 10920리이며, 세 바다 연안은 도합 128읍에 총 8043리이다.
兩江沿總二千八百八十七里 鴨綠江沿二千四十三里 豆滿江沿八百四十四里 其延?廣狹 北自慶興 南至機張 三千六百一十五里
두 강의 연안은 총 2887리로, 압록강 연안은 2043리, 두만강 연안은 844리이며, 그 길이와 너비는 북쪽 경흥부터 남쪽 기장까지 3615리,
* 延? : 延은 동서, ?는 남북의 길이
東自機張 西至海南 一千八十里 南自海南 北至通津 一千六百六十二里 西北自義州 南至通津 一千六百八十六里
동쪽 기장에서 서쪽 해남까지 1080리, 남쪽 해남에서 북쪽 통진까지 1662리, 서북 의주에서 남쪽 통진까지 1686리이다.
漢陽處其中 輻湊山河 經絡星緯 野分箕尾 析木之次 北鎭華山 南帶漢江 左控關嶺 右環渤海
한양은 그 가운데 있어 이를 중심으로 모인 산하가 경락과 성위를 이루며 벌판은 기와 미를 나눠 석목의 위차하니 북으로 화산을 누르고 남으로 한강을 두르고 좌로 관령을 당기고 우로 발해를 에운다. (* 箕, 尾, 析木 : 별자리)
域民以太平之仁 習俗有箕壇之化 況均四方來廷之道 正亥坐南面之位 實猶周之洛陽 非東西關 三京所可比也 其爲天府金城 誠億萬世無疆之休也 歟嗚呼偉哉
백성은 태평의 인으로써 습속에 기자 단군의 교화 있어 사방에 내정의 도가 고루 미치고, 정해좌 남면지위가 실로 주나라 낙양과 같으니, 동서관 삼경이 가히 비할 바가 아니다. 그 천부 금성이 되어 삼가 억만세 무강지휴라, 아아 훌륭하도다.
亥坐 : 방위
南面之位 : 임금의 자리
天府 : 비옥하고 자원이 많은 땅
金城 : 굳고 단단한 성, 임금이 거처하는 성
無疆之休 : 좋고 아름다움이 끝이 없음
대동여지도의 모습을 축소한 이미지. 대동여지도는 전도가 아닙니다. 전도로 흔히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지도는 '대동여지전도'라는 대동여지도와 비슷해 보이는 지도입니다. 이 전도는 나누어져 있는 각각의 첩들을 컴퓨터 작업을 통해 이어붙인 것입니다. 대동여지도는 40cm X 30cm 의 목판 125매로 되어 있어 전체를 이어 붙히면 가로 4m, 세로 6.6m에 이르는 거대한 지도로 지명 11,500여 개가 새겨져 있다.
대동여지도 지도유설(大東輿地圖 地圖類說)
황의열(黃義洌 : 성균관대학교·강사) 옮김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風后(풍후)㉠가 地圖(지도)를 받아서 九州(구주)㉡를 비로소 布陳(포진)하였으니 이것이 地圖의 始初(시초)요, 山(산)과 바다에 대한 책이 있어 13篇(편)이 되니㉢ 이것이 地理書(지리서)의 始初이다. 周禮(주례)㉣에 大司徒(대사도)㉤이하 職方(직방)㉥과 司書(사서)㉦와 司險(사험)㉧의 관리들이 모두 地圖를 가지고 險하고 막힌 것을 두루 알고 각 地方(지방)의 이름난 물건들을 分辨(분변)하여 바로 한다고 하였으며, 전국시대의 蘇秦(소진)㉨·甘茂(감무)㉩의 무리들은 모두 지도에 依據(의거)하여서 天下(천하)의 험하고 평탄한 것을 말하였다. 簫何(소하)㉪가 關門(관문)㉫에 들어가서 먼저 地圖와 書籍(서적)을 거두었으며, 鄧禹(등우)㉬와 馬援(마원)㉭은 또한 이로써 光武帝(광무제)㉮를 섬기고 功名(공명)을 이루었다. 儒學者(유학자)로는 鄭玄(정현)㉯·孔安國(공안국)㉰에서부터 그 아래로 모두 지도와 서적을 얻어 보아서 周나라와 漢(한)나라의 山川을 징험하였으니, 대개 지도로써 그 形象(형상)을 살피고 지리서로써 그 數(수)를 밝히었으며, 왼편에 지도를 두고 오른편에 서적을 두었으니 참다운 학자의 일이다."고 하였다. 晉(진)나라 裵秀(배수)㉱의 지도 만드는 理論(이론)《制地圖論(제지도론)》을 간추리면 대략 이러하다. "圖書를 만드는 것은 그 由來(유래)가 오래 되었다. 옛날에 하늘이 形象을 드러내고 制度(제도)를 세운 때부터 그 活用(활용)을 힘입었고 三代(삼대)㉲에는 그 官職(관직)을 두어 史(사)㉳가 그 직책을 관장하였다." 또 "지도를 만드는 바탕이 여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分率(분율)이니 그것으로 廣輪(광륜)(原注(원주) ; 周禮에 이르기를 東西(동서)를 廣이라 하고 南北(남북)을 輪이라 한다)의 척도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는 準望(준망)이니 그것으로 여기와 저기의 體制(체제)를 바르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道里(도리)이니 그것으로 다니는 곳의 里數(이수)를 定(정)하는 것이다. 넷째는 高下(고하)이고 다섯째는 方邪(방사)요 여섯째는 迂直(우직)이다. 이 여섯 가지로 각각 地形(지형)을 因(인)하여 形態(형태)를 만드는 것은 그것으로 평탄함과 험저함을 헤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도 모양만 있고 分率이 없으면 멀고 가까운 차이를 살필 도리가 없고, 分率은 있으되 準望이 없으면 한 모퉁이에서는 잘 되더라도 다른 곳에서는 반드시 실패하게 된다. 또 비록 準望이 있어도 道里가 없으면 산과 바다로 끊어지고 막힌 지역에 있어서는 능히 서로 통할 수가 없고, 道里가 있으나 高下·方邪·迂直과 대조함이 없으면 길의 里數가 반드시 遠近(원근)의 실제와 서로 어긋나게 되고, 準望의 바른 것을 잃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이 여섯 가지를 참작하여 考察(고찰)한 연후에 원근의 실제가 分率에 의해 정해지고 彼此(피차)의 실제가 道里에 의해서 정해지고 度數(도수)의 실제가 高下·方邪·迂直의 計算(계산)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아무리 높은 산과 큰 바다로 막혀 있고, 단절된 지역이나 다른 지방이 멀리 있으며 오르고 내리고 어긋나고 굽은 것이 제각기 생겼다 하더라도 모두 가히 들어서 바로 할 수 있는 것은 準望의 法(법)이 이미 정해져 있고 曲直·遠近과 더불어 그 형태를 숨긴 것이 없기 때문이다." 宋(송)나라 呂祖謙(여조겸)㉵이 쓴 〈漢輿地圖(한여지도)〉의 序文(서문)에 이르기를 "輿地의 地圖가 있은 것은 옛날부터이다. 成周(성주) 때부터 大司徒가 天下 土地의 지도를 관장하여 그로써 廣輪의 數를 두루 알았고, 職方氏의 지도는 후에 더욱 상세하여졌다. 漢나라가 秦나라를 멸망시키기에 이르러서 簫何가 먼저 그 圖書를 거두어서 비로소 天下의 험하고 막힌 것과 戶口(호구)의 많고 적음의 차이를 모두 알았으니 그런즉 오래된 것이다."고 하였다. 《方輿紀要(방여기요)》㉶에 이르기를 "方位(방위)를 바로 하고 里道(이도)를 밝히는 것의 두 가지는 方輿의 要體(요체)인데 더러는 그것을 소홀히 한다. 일찍이 이르되 '東쪽'이라고 하면 東南쪽이나 東北쪽이나 모두 東쪽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자세하게 구한다면 方位는 똑같으나 里道가 들쑥날쑥한 것이고 里數가 같아도 山川이 구불구불할 것이다. 그러면 지도에 그려놓은 것이 의지할 만한 것이지만 꼭 의지할 수 없고, 적어놓은 것이 믿을만한 것이지만 꼭 믿을 수가 없다. 오직 그 지형을 환히 아는 사람만이 비로소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만약 方位와 里道를 모두 버린다면 담벼락에 얼굴을 대고 있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 하였다. 이름난 산과 갈려 나온 산은 큰 근본이다. 그 사이에 우뚝하게 솟은 것도 있고 나란히 솟은 것도 있고 연이어 솟아 있거나 중첩하여 솟아 있는 것도 있다. 큰 내와 갈려 나온 흐름은 물의 큰 근원이다. 그 사이에 돌아 흐르는 것도 있고 나뉘어 흐르는 것도 있고 합쳐서 흐르거나 끊어져 흐르는 것이 있다. 《方輿紀要》에 이르기를 " 孫子(손자)㉷가 이렇게 말했다. "산고 숲의 험하고 막힌 것과 늪과 못의 형세를 알지 못하는 사람은 行軍(행군)을 할 수가 없으며, 鄕導(향도)㉸를 쓰지 아니하는 사람은 地勢(지세)의 이로움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내 글을 얻지 못하면 또한 가히 향도를 쓸 수가 없으니 향도를 가히 믿을 수 있겠는가. 어째서인가, 향도는 임시로 쓰는 것이고 地勢의 이로움은 평소에 알아두는 것이다. 평소에 일찍이 九州의 形勢와 사방의 험하고 평탄한 것에 대해서 하나하나 그 큰 벼리를 판별하고 그 곁가지를 알아두지 아니하고서 임시의 향도에게서 믿음을 취하고자 하면 어떻게 적이 어리석게 여기는 바가 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要塞(요새)가 되는 곳을 分辨하고, 느리고 급한 기미를 살피면, 기습공격하는 것과 정면 공격하는 것이 가슴 속에서 결정되고, 죽고 사는 것이 손바닥 위에서 변하게 되니, 地勢의 이로움이 있는 곳을 因하여 臨機應變(임기응변)하는 것이다. 또한 行軍의 一端(일단)만이 아니라 天子(천자)가 안으로 萬國(만국)을 慰撫(위무)하고 밖으로 사방의 오랑캐에 臨하는 데 있어서 가지와 줄기, 강한 것과 약한 것의 구분과, 가장자리와 중심자리, 중요한 것과 가벼운 것의 형세를 몰라서는 아니 된다. 宰相(재상)이 天子를 도와서 나라를 다스리는데 무릇 변방 요새의 유리하고 불리한 곳과, 전쟁에 대한 마땅함들을 모두 몰라서는 안되는 것이다. 모든 官員(관원)과 여러 府署(부서)에서 天子를 위하여 백성과 사물을 모두어 다스리는데 있어서는 財物(재물)과 稅金(세금)이 나오는 곳과 전쟁과 나랏일의 바탕을 모두 알아야 한다. 監司(감사)와 守令(수령)들은 天子가 백성과 社稷(사직)을 맡긴 것을 받았으면 그 지역에 뒤섞여 있는 것과 산과 못의 우거지고 숨겨진 것, 그리고 농사짓고 누에치고, 샘물을 쓰는데 유리한 것과 백성들의 實情(실정), 風俗(풍속)이 다스려지는 것을 모두 알아야 한다. 四民(사민)㉹이 여행하고 왕래하는데 무릇 水路(수로)나 陸路(육로)의 險하고 평탄하고에 따라 나아가고 피하는 내용들을 모두 몰라서는 아니 된다. 세상이 어지러우면 이를 말미암아서 쳐들어오는 적을 막는 일을 돕고 强暴(강폭)한 무리들을 제거하며, 시절이 평화로우면 이로써 나라를 경영하고 백성을 다스리니 모두 내 글을 따라서 취하는 것이 있을 따름이다." 고 하였다. 《文獻備考(문헌비고)》에 이렇게 일러 있다. " 세 바다의 沿邊(연변)과 두 江(강)의 沿邊이 모두 10,930里이다. 세 바다의 연변이 무릇 128邑(읍)에 총 8,043里이다. 두 강의 연변이 총 2,887리이다. (原注 : 변방의 고을 사이의 거리로 계산한 것이다) 동북쪽으로는 慶興(경흥)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機張(기장)에 이르기까지 3,615里이다. 동쪽으로는 機張에서부터 서쪽으로 海南(해남)에 이르기까지 1,080里이다. (原注 : 巨濟(거제)와 南海는 넣지 아니한 것이다) 남쪽으로는 海南에서부터 북쪽으로 通津(통지)에 이르기까지 1,660里이다. (原注 : 濟州(제주), 珍島(진도), 江華(강화)는 넣지 아니한 것이다) 서북쪽으로는 義州(의주)에서부터 남쪽으로 通津에 이르기까지 1,686里이다. (原注 : 喬桐(교동)은 넣지 아니한 것이다) 鴨綠江(압록강) 연변은 2,034里이다. 豆滿江(두만강) 연변은 844里이다. ------------------------------------- 주) ㉠ 黃帝(황제) 때의 宰相(재상). 《漢書(한서)》藝文志(예문지)에 《風后》十三篇이 있다고 전한다. ㉡ 夏(하)나라 때 禹(우)임금이 全國(전국)을 아홉 개의 州(주)로 나누었다는 행정 구획. 轉(전)하여 中國全土(중국전토)를 이르기도 함. ㉢ 본시 《山海經(산해경)》이라는 책은 禹임금, 또는 伯益(백익)이 지었다고 하는 18篇의 地理書로서 이것이 지리서의 시초인데 여기서는 13篇이라 하였으니 착오인 듯 하다. ㉣ 周나라 대 周公(주공)이 지었다고 하는 官制(관제)에 관한 책. ㉤ 官名(관명). 周나라 때 교육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三公의 하나. ㉥ 官名. 天下九州의 地圖를 관장하고 四方의 貢物(공물)을 관리하는 직책. ㉦ 官名. 會計(회계)의 장부를 관장하는 직책. ㉧ 官名. 나라의 險要(험요)를 지키는 일을 관장하는 직책. ㉨ 戰國時代(전국시대)의 정치가. 洛陽(낙양)사람. 六國을 돌아다니며 合從策(합종책)을 主唱(주창)하고 六國의 大臣(대신)을 겸하였다. ㉩ 전국시대 秦(진)나라 下蔡(하채)의 사람. 武王(무왕)을 섬겨서 左相(좌상)을 지냈다. ㉪ 漢나라 沛(패)의 사람. 高祖(고조)의 功臣(공신). 高祖를 도와서 천하를 통일하였다. ㉫ 여기서는 涵谷關(함곡관)을 말함. ㉬ 後漢(후한) 新野(신야)의 사람. 光武帝(광무제)와 親交(친교)가 있었으며 天下를 평정한 공이 컸다. ㉭ 後漢 茂陵(무릉)의 사람. ㉮ 後漢의 제 1代王 劉秀(유수). ㉯ 後漢 高密(고밀)의 사람. 馬融(마융)에게 師事(사사)하였으며 백 여만 言(언)의 저술을 남긴 經學家(경학가). ㉰ 後漢 山東(산동) 사람. 孔子의 11代 後孫(후손). 經學家. ㉱ 晉나라 사람. 《禹貢地域圖(우공지역도)》 18篇을 지음. ㉲ 夏(하), 殷(은), 周(주)의 시대. ㉳ 官名. 記錄(기록)을 담당함. ㉴ (홈지기 덧붙임 : 아래 나오는 지도 제작의 여섯 가지 원칙을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율(分率) - 지도의 축척(縮尺) 2. 준망(準望) - 가로, 세로의 눈금. 이를 방격(方格), 방안(方眼) 혹은 획정(劃井)이라고도 한다. 3. 도리(道里) - 거리 측정. 걸어서 갈 수 없는 산간, 호수, 바다와 같은 지역은 삼각형의 제 3변의 길이를 정하는 방법으로 계산 4. 고하(高下) - 땅의 고저 측정 5. 방사(方邪) - 직각과 예각 측정 6. 우직(迂直) - 곡선과 직선 측정 ㉵ 宋나라 사람. 《東萊左氏博議(동래좌씨박의)》등을 쓴 文章家(문장가). ㉶ 書名(서명). 《讀史方輿紀要(독사방여기요)》의 略稱(약칭). 淸(청) 顧祖禹(고조우)가 지은 지리서로 130卷(권)에 달한다. ㉷ 春秋時代(춘추시대) 齊(제)나라 사람. 이름은 武(무). 《兵法(병법)》 13篇을 지었다. ㉸ 鄕導 길을 안내하는 사람. ㉹ 士(사), 農(농), 工(공), 商(상) 네 가지 부류의 백성. |
|||||
( 2009년 10월 04일 15시 37분 조회:2648 추천:210 ) |
지도유설에는 지도의 기원과 그 중요성을 말하고 중국 진(晋)나라 지도학자인 배수(裴秀)가 말한 지도제작의 6원칙을 소개했다. 지도유설의 끝부분에는 문헌비고를 인용해서 우리나라의 해안에 연해 있는 읍의 거리를 근거로 한 해안선의 거리와 압록강과 두만강의 길이 등을 이수(里數)로 표시하고 있다. | |
'우리문화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景福宮) 이야기 (0) | 2023.10.18 |
---|---|
조선시대 희귀자료 147선 (1) | 2023.10.18 |
종묘, 종묘의 지당 (0) | 2023.08.08 |
종묘, 외대문 일원 이야기 (0) | 2023.08.05 |
종묘, 악공청이야기 (0) | 202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