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景福宮) 이야기
<근정전의 어제와 오늘입니다>
사적 제117호인 경복궁은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입니다.
북으로 북악산을 기대어 자리 잡았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는 넓은 육조거리가 펼쳐져 왕도인 한양 도시 계획의 중심이기도 합니다.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졌다가 고종 때인 1867년 흥선대원군이 주도한 경복궁 중건은 500여 동의 건물들이 미로같이 빼곡히 들어선 웅장한 모습 이었습니다.
<중궁전의 교태전입니다>
<동궁의 자선당입니다>
<동궁의 비현각입니다>
<건청궁의 모습입니다>
궁궐 안에는 왕과 관리들의 정무 시설과 왕족들의 생활공간 그리고 휴식을 위한 후원 공간이 조성되었으며 왕비의 중궁, 세자의 동궁, 고종이 만든 건청궁 등 궁궐안에 다시 여러 작은 궁들이 복잡하게 모인 곳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거의 대부분의 건물들을 철거하여 근정전 등 극히 일부 중심 건물만 남았고,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짓는다는 명목으로 대부분의 궁 건물을 헐었었는데 다행히 1990년부터 본격적인 복원 사업이 추진되어 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고 흥례문 일원을 복원하였으며, 왕과 왕비의 침전, 동궁, 건청궁, 태원전 일원의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며칠 전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앞 월대가 복원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고 경복궁을 찾았습니다.
아주 오래전에는 광화문 밖으로 좁은 인도가 있었으며 이후 한 차례 광화문의 제위치를 찾는다고 띁어 제끼더니 인도를 넓히고 월대를 만들어 보기가 좋았는데 이번에는 또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복원하다고 애단법석을 떨며 다시 또 한 차례 띁어 제끼고 공사를 합니다.
물론 제모습에 제위치를 찾는 것이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그런데 기하학적으로 들어가는 공사비용이 우리가 내는 세금이고 세금이 모자라면 외국에서 차관을 끌어다 써야하니 후손에게 빚만 물려주게되는 것이니 저로서는 찬성의 의견보다는 반대의견이 더 앞선다는 생각입니다.
이번 공사에서는 옛모습을 찾는다고 월대를 복원시켰습니다.
몇 년전 자살해 죽은 박원순은 시장이라는 사람은 직위를 이용해 원래부터 넓었던 광화문앞 넓은 도로를 반토막을 내고 공원을 조성했는데 아마도 정치하는 넘들의 특성을 보면 4반세기, 아니면 반세기가 지나지 않아 광화문앞 도로 제모습찾기를 한다며 또 띁어 제낄것은 자명한 일일 것입니다.
그건 그렇고 이번 복원된 월대를 보며 큰 느낌이 있었습니다.
(최근 사진을 첨부합니다.)
(최근 사진을 첨부합니다.)
(최근 사진을 첨부합니다.)
월대 맨 앞 양쪽으로 깨끗한 새 돌 앞에 색깔이 누렇게 퇴색되어 오랜 역사의 흔적을 느낄 수있는 서수상이 장식되어 있는데 이 서수상이 뉴스에서 들은 바로는 삼성그릅의 전 회장 이건희회장께서 살아 생전에 구입해서 보관하던 것으로 이건희 회장께서는 "문화유산의 보존은 미래를 위한 시대적 의무"라고 말해왔다고 하며 이건희 회장의 유지에 따라 이재용 삼성회장이 국가에 기증했다고 합니다.
이건희회장이나, 이재용회장 같은 분들이 있어 문화재가 외국으로 반출되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수 있었다는 점에서 삼성가 회장이하 삼성그룹에 대한 존경심이 새로워 집니다.
이런 분들이 있는가하면 남의 책을 훔쳐서 자기 것이라고 우기며 징역을 살면서도 어디에 숨겼는지 말하지 않고 국가에게 천억을 주고 사가라고 외치는 사기꾼 매국노도 있습니다.
어떤 고서, 누구인지는 개인의 프리이버시가 있어 밝힐 수 없지만 누구인지 어떤 국보급 책인지는 국민들이 다 알고 있을 것입니다.
(최근 사진을 첨부합니다.)
이번 월대 공사를 하며 어느 신문사에서는 원래의 해치상이 있던 자리가 아니라고 이의를 제기하기도 하는데 이를 모를리 없는 관청은 원래위치에 설치하면 교통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점으로 여러 기관과 협의하고 결정한 결과였을 것입니다.
(위 일부의 글은 월대 복원공사를 마친 후 수정하고 사진을 첨부했습니다.)
<광화문 입니다>
<흥례문 입니다>
<근정문 입니다>
<근정전 입니다>
<사정전 입니다>
<강녕전 입니다>
<교태전 입니다>
광화문⇨흥례문⇨근정문⇨근정전⇨사정전⇨강녕전⇨교태전을 잇는 중심 부분은 궁궐의 핵심 공간이며,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대칭적으로 건축 되었고 중심부를 제외한 건축물들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변화와 통일의 아름다움을 함께 갖추었습니다.
태조가 조선을 개국하고 옛 고려의 도읍지인 개성에서 정치를 하였으나 모든 여건이 원만치 못하자 천도를 하게 되며 태조가 도읍지로 정한 곳이 이곳 서울인 한양입니다.
한양을 도읍으로 정한 태조는 1394년(태조 3) 12월 4일 시작된 궁궐 공사는 이듬해 9월 중요한 전각이 대부분 완공되었고 궁의 이름은 〈시경 詩經〉에 나오는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뜻으로 '군자만년개이경복'(君子萬年介爾景福)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5대 궁궐 중 가장 먼저 지어졌으나 1543년(중종 38) 동궁에서 일어난 화재와 1553년(명종 8)에 일어난 화재 그리고 임진왜란으로 인해 모든 건물이 불탄 후 270여 년간 폐허상태로 있다가 1865년(고종 2) 대규모 재건공사를 시작하여 1867년 11월16일 고종은 우선 완성된 근정전에서 모든 신하들로부터 절을 받으면서 궁궐의 정전인 근정전이 완성된 것을 축하하고 공사를 하느라 밤낮없이 고생한 많은 사람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큰 잔치를 열었습니다.
이후 계속 공사를 하면서 1868년 고종이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이듬해인 1869년에 경복궁 복원공사의 마침표를 찍게 되었는데 완공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876년에 일어난 대규모 화재 등으로 여러 차례의 피해와 복구가 거듭되었습니다.
<신무문 입니다>
<구 러시아 공사관 입니다>
이렇게 어렵게 재건된 경복궁은 1894년부터 일본 군대가 흑심을 품고 궁궐을 드나들기 시작하더니 이를 저지하려는 명성황후를 이듬해인 1895년에 살해하는 만행을 겪으면서 고종은 신무문을 통해 경복궁을 버리고 러시아 공관으로 아관파천을 단행하니 30년 만에 경복궁은 또다시 주인 없는 궁으로 변해버리고 일본은 1904년 이곳에 통감부가 들이면서 많은 건물이 해체되었는가 하면 1917년 11월에 일어난 창덕궁의 대규모 화재(일본 애들이 일부러 방화한 것으로 심증은 가나 물증이 확보 안 된 화재임) 뒤 이를 복구하기 위해 1918~20년 원래 있던 강녕전과 교태전 그리고 함원전 일대의 건물을 헐어 이곳에서 나온 목재로 창덕궁의 희정당과 대조전 그리고 경훈각 등을 재건하는데 사용하였으니 경복궁과 창덕궁의 모든 전각이 수난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경복궁은 뒤에 백악과 삼각산을 등지고 한성 중심 좌우에 6조관아가 있는 대로 광장에 조영된 궁궐로서 중국의 고대 궁궐을 만드는 법식인 하늘의 별자리를 본뜬 오성좌 배치를 따라 정전인 근정전을 중심으로 남북축선상에 주요건물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면서 정전과 편전은 앞부분에, 침전과 후원은 뒷부분에 배치하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격식을 갖추고 직4각형에 가까운 대지 주위를 담장으로 둘러싸고 동문 건춘문(建春門), 서문 영추문(迎秋門), 남문 광화문(光化門), 북문 신무문(神武門) 등 4개의 문을 만들었습니다.
<영제교 입니다>
<자경전 입니다>
<보물 제 810호인 자경전 뒤 꽃담입니다>
궁궐 안은 정문인 광화문으로부터 흥례문과 금천을 가로지른 영제교와 근정전을 둘러싼 회랑의 정문인 근정문과 정사를 보던 사정전 뒤의 향오문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이 사이의 공간은 나랏일을 보고 의식을 행하는 업무공간이며 향오문 뒤쪽에는 침전과 궁궐 내에 필요한 제반시설이 자리한 영역인 후원이 자리 잡고 있는데 광화문과 향오문 사이에는 근정문을 경계로 다시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2단의 월대 위에 자리한 중층의 근정전과 이를 둘러싼 회랑을 중심으로 한 이곳은 치조(治朝)에 해당되는 곳으로 주로 신하들의 조례를 받던 곳이며 바닥에는 넓다란 박석을 깔고 좌우대칭을 이루어 보다 강한 권위를 보여주며 광화문과 근정문 사이의 공간은 외조(外朝)에 해당되며 침전으로 통하는 향오문 뒤에는 왕의 침전인 강녕전(康寧殿)과 왕후의 침전인 교태전(交泰殿)을 비롯해 그 동쪽에 왕대비가 살던 자경전(慈慶殿) 등 많은 침전들이 있습니다.
<국보 제 224호인 경회루 입니다>
<경성전 입니다>
<천추전 입니다>
<수정전 입니다>
<건순각 입니다>
<보물 제 811호인 아미산 정원입니다>
<향원정 입니다>
<집옥재 입니다>
현재 근정전(국보 제223호), 경회루(국보 제224호), 자경전(보물 제809호), 근정문 및 행각(보물 제812호), 사정전, 천추전, 수정전, 집경당, 함화당, 건순각, 향원정, 집옥재, 협길당 등의 건물과 경천사지10층석탑 (국보 제86호)을 비롯하여 일제강점기에 옮겨놓은 많은 국보·보물급 석조문화재가 있습니다.
'우리문화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사정전(思政殿) 권역 (0) | 2023.10.19 |
---|---|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권역 (0) | 2023.10.19 |
조선시대 희귀자료 147선 (1) | 2023.10.18 |
대동여지도 발문(跋文) 해설 (0) | 2023.08.09 |
종묘, 종묘의 지당 (0) | 2023.08.08 |